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2

엔진 오일 교환 언제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엔진 오일 은 주기적으로 매 5000km~15,000km 주행 시마다 교환하여야 하는 소모품입니다. 교환 주기가 큰 폭으로 차이가 있는 이유는 엔진의 배기량 사용 연료 엔진 형식 엔진 오일의 등급 등 많은 조건들이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주행 환경, 습관도 큰 영향을 줍니다. 엔진 오일 교환주기 고가의 국산 또는 수입 자동차는 판매 시 일정 량의 소모품 무상 쿠폰을 판매사가 고객에게 지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소모품 쿠폰에는 엔진오일 교환 쿠폰이 있는데요 수입 L사는 엔진 오일 교환 쿠폰을 매 30,000km 주행 시마다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판매사의 비용 절감을 위한 약간의 꼼수가 의심 가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 교환 주기를 잘 지켜도 차량의 문제가 없는 것이 사실이며 긴 .. 2023. 7. 3.
운전중 침수 지역 이나 물 웅덩이를 지날때 꼭 주의 하세요. 집중 호우로 갑자기 불어난 물에 상가나 도로가 침수되는 경우를 종종 봅니다. 이럴 때 차량이 지나갈 수 있는지 없을지 많은 고민을 합니다. 매스컴을 통해 물이 타이어 휠의 절반 이상 찼을 때 운행은 차량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는 하지만 가급적이면 운전을 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침수로 인한 엔진 손상 침수 지역을 지날 때 엔진의 큰 손상이 생기는 이유는 엔진 내부로 물이 빨려 들어가는 원인에 있습니다. 내연 기관 차량의 엔진은 연료만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라 연료를 태우기 위해 적정량의 공기가 필요합니다. 이 공기는 에어클리너라는 필터를 거쳐 깨끗한 공기로 엔진의 내부로 빨려 들어가게 됩니다. 엔진은 실린더 내부의 피스톤이 흡입(공기흡입 피스톤하강) ~ 압축(공기압축 피스톤상승) ~ 점화(연료점화 피스.. 2023. 6. 29.
장마철 엔진에서 쇠 갈리는 소음 발생 (팬벨트 소음) 비가 많이 오는 장마철엔 정비소의 입고되는 차량 중 팬벨트 소음을 의뢰하는 고객들이 많습니다. 팬벨트는 고무 재질로 수분이 묻게 되면 마찰력이 떨어져 미끄러지는 소음이 발생됩니다. 때론 수분이 마르게 되면 소음이 없어지는 경우도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는 팬벨트를 교환하여야 합니다. 팬벨트 팬벨트는 매 8~100,000km에 교환하여야 하는 소모품입니다. 때론 더 짧거나 오래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비가 많이 오는 장마철엔 오랜 사용으로 늘어난 팬벨트가 빗물에 젖어 "끽끽끽"" 찍찍찍" 하는 미끄럼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팬벨트는 크랭크 플리의 회전역을 에어컨콤프레셔, 파워스티어링펌프, 발전기, 냉각수펌프 등에 회전력을 전달해 주는 부품으로 일정한 기간을 사용하게 되면 늘어나고 딱딱해져 마찰력.. 2023. 6. 27.
장마철 차량 관리 항목중 타이어 마모상태 와이퍼 브러쉬 에어컨 작동 점검은 필수입니다. 이제 곳 여름 장마가 시작될 것 같습니다. 안전한 운행을 위해 주기적인 차량점검은 필수 이겠지만 특히 장마철 차량 점검 항목 중 와이퍼 브러시 에어컨 작동확인 타이어 마모 상태는 꼭 확인하셔야 하며 겨울철 눈길처럼 우천 시 에도 사고 발생률이 높다는 것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타이어 마모 상태점검 타이어는 차량의 엔진 오일처럼 중요한 소모품입니다. 타이어의 심한 마모는 장마철 교통사고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타이어에는 마모 한계점을 표시하여 제작하게 되어 있습니다. 이 한계점에 마모가 가까워질수록 우천 시 타이어에 수막현상이 생기게 되어 차량의 안전성을 현저히 떨어뜨립니다. 타이어의 트레이드(무늬)는 우천 시 노면에 발생된 수막을 타이어 바깥으로 밀어내 주어 타이어의 접지력을 높여 주는 역할을 합.. 2023. 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