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배터리 경고등 점등시 운행을 하면 않되는 이유

by £€°※¤☆♧♤ 2023. 6. 22.

배터리-충전-방전-경고등

자동차를 운전하다 보면 옆에 그림과 같은 경고등을 매번 보았을 거라 생각합니다. 이 경고등은 배터리 경고등으로 자동차 전원을(이그니션 2) 켜게 되면 점등되었다가 시동이 걸리면 꺼지게 되어 있어 차량의 충전 상태을 알려주는 배터리 충전 경고등입니다. 만약 이 경고등이 시동이 걸린 후에도 꺼지지 않거나 한참 후에 꺼진다면 배터리의 과방전 또는 알터네이터(발전기)의 이상 충전을 의심하여야 하며 가급적 빨리 정비소에 방문하셔야 합니다.  

자동차 배터리의 필요성

자동차는 운행 중엔 자체 발전기에서 만들어진 전기로 차량의 모든 전자 부품에 전기를 공급합니다. 엔진, 변속기, 헤드램프, 오디오등 모든 전자 부품 및 편의 장치까지 이 전기를 사용하게 되어 있으며 남은 전기는 배터리에 충전을 시켜 시동이 꺼진 상태의 차량을 시동을 걸 수 있게 해 주며 잠긴 차량의 트렁크나 도어를 리모컨을 통하여 열 수 있게 해 줍니다. 또한 주차 중 블랙박스 나 도난 방지를 위한 경보 시스템에도 쓰이게 됩니다. 만일 주행 중 충분히 충전이 안 된다면 이 모든 장치가 멈추게 되며 시동 또한 걸리지 않게 됩니다.

배터리의 수명 및 교환 시기

  • 수명 : 배터리의 수명은 2~3년 정도의 수명을 가집니다. 그러나 이 수명은 원만한 주행 조건에 한 해서이며 잦은 짧은 거리 운행과 장시간 미 운행 차량의 배터리 수명은 현저히 떨어집니다. 예을 들어 가까운 마트를 가기 위해 시동을 걸고 헤드램프, 에어컨, 와이퍼, 오디오등 많은 전기를 사용 하며 5분도 안 되는 거리를 이동했다면 이동 중에 사용된 전기량이 충전량 보다 많기 때문에 이 차량은 이런 운행을 반복하는 한 배터리 수명은 짧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주차 중 블랙박스까지 장시간 작동 된다면 이 차량의 배터리는 길게 사용한다 해도 2년을 넘기기 힘듭니다.
  • 교환 시기 : 교환 시기는 2~3년 주기로 교환을 합니다. 물론 더 오래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현재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의 품질이 좋지 않거나 운행 조건에 맞지 않은 적은 용량의 배터리가 장착되어 있다면 교환 시기는 앞당겨질 수 있습니다. 참고로 저의 운행 습관은 평균적으로 하루 70km 이상과 1시간 이상 운행을 합니다. 운행 조건은 원만한 주행 조건 이어서 4년 정도 배터리를 사용하며 4년 차 겨울이 다가오기 전에 무조건 교체를 하여 단 한 번도 방전으로 인한 시동 불량으로 곤란한 경험을 해본 적이 없습니다.

요약 

4년 이상 배터리를 사용 중이시라면 꼭 교체하세요!! 본격 적인 뜨거운 여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즐거운 여름휴가를 해외로 다녀와서 공항 주차장에서 반갑게 맞이해 주는 자동차를 원하신다면 휴가비 예산에 배터리 교환 비용을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혹시 이 글을 보시게 되는 시점이 겨울이라면 가족과 연인과 친구들과 스키장에 가실 계획이라면 꼭!!  

이상으로 배터리 경고등 및 교환 시기에 대한 내용이었습니다. 부족하지만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하고, 안전 운전에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댓글